주식 책 추천 - 자본의 방식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시각)
- 저자: 유기선
- 발행일: 2020년 01월
- 목차:
- 변화하는 자본
- 자본의 전개
- 자본의 지배
- 자본이 가진 그림자
- 자본의 주인들
- 자본이 움직이는 방식
[리뷰 목차]
1. 소주제 위주의 경제 훑어보기
2. 얕고 두서없는 전개
3. 총평
1. 소주제 위주의 경제 훑어보기
코로나19가 불러온 주식 투자, 그리고 이후에 전개된 부동산 투자 열풍으로 수많은 20-30대 젊은이들이 투자 시장으로 뛰어들었다. 몇 년 지나지 않아 찾아온 지금의 경제 침체기는 우리가 다급한 마음을 접고, 경제에 대해 자본에 대해 공부하고 이해하는 좋은 시기라고 생각한다. 그런 모드로 여러 책과 강의를 접하고 있는데, <자본의 방식> 책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는 책이었다.
우선 경제를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준다. 주식 투자를 할 때, 지금 살때인지 팔 때인지 얼마가 오를 것인지를 먼저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펼쳐지고 있고,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주식회사는 어떻게 변모하고 있으며, 이해관계들은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편협한 시각을 가지기 쉽고, 이는 소중한 내 손을 잃는 투자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책에서는 47가지 주제로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다양한 경제적 사건들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소주제를 뽑아 소개하고 있다. 나 또한 자본이 흘러온 역사나 사건들 중 몰랐거나 간과한 소재가 몇몇 있어 흥미로운 관점으로 바라봤다.
사건 중심으로 펼쳐지지만, 스토리가 녹아져 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하나의 소재를 설명하고 이를 바라보는 자본가의 인식과 행동을 설명해 준다. 그리고 그 안에 연관된 이해관계자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본다. 정보 전달이 목적이라기 보다는 자본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관점들을 던져준다. 이는 근시안적인 투자 방법론보다는 시야를 넓혀주는 역할을 하고, 자본주의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한 발짝 떨어져서 이를 볼 수 있는 시간을 전하기도 한다.
2. 얕고 두서 없는 전개
다만, 47개나 되는 주제로 이야기를 펼치기 때문에 하나의 주제에 대한 깊이는 부족하다. 이 책은 하나의 역사적 사건 혹은 자본의 이론에 대한 깊은 통찰이 필요할 때가 아니라, 자본주의 전반에 대해 얕은 이해를 해야 할 때에 적합하다. 여기 나온 정보와 의견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이 중 깊이 있게 다루고 싶은 소재가 있거나 통찰이 필요할 때에는 그와 관련된 책을 찾아 읽어야 한다. 마지막에 이 책을 집필하며 참고한 서적이 정리되어 있어, 그 중에서 찾아 읽는 것도 추천한다.
우리가 이 책을 접할 때 한가지 생각해 두어야 할 점은 저자인 유기선 작가가 선택한 소재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이 책 하나로 세계 자본주의의 역사를 빠짐없이 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여기에 다루지 않지만 중요한 사건들도 다수 존재한다. 특히나 마지막 챕터의 경우, 주식 시장에 관한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책이 가지는 특성 중 하나인 과거 중심의 집필이라는 점은 꼭 인지하고 책을 읽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은 스스로가 메시지를 던지는 독립된 서적이 아닌, 여러 자본에 관한 책들 중 저자가 선택한 요소를 종합해 둔 종합서에 가깝다.
3. 총평
지금 당장의 투자에서 벗어나, 자본주의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자본가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전한다. 하지만 47개의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하나하나의 깊이는 부족하다. 내가 원하는 주제를 찾아 공부하기 전, 이 책에 있는 47개의 항목을 한번 훑어본 후 그 주제를 정하는 것에 적합하다.
'일상 및 경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운영 후기 - 2달 운영, 방문자 추이, 관련 팁 (1) | 2023.03.10 |
---|---|
부동산 책 추천 - 채상욱 저, 대한민국 부동산 지난 10년, 앞으로 10년 (0) | 2023.03.08 |
홈트 추천 유튜브 및 팁 (1) | 2023.02.23 |
굽네 닭가슴살 소시지 구매 후기 (0) | 2023.02.21 |
나라장터 입찰 전략 및 제안서 작성 전략 (0) | 2023.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