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채널 및 글 구성
2. 유입 방문자 추이 및 팁
3. 수익화를 위한 준비
1. 채널 및 글 구성
1) 채널의 선택
수많은 블로그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2번째 수익원으로 블로그를 생각하고 새롭게 만든다. 국내 블로그 수익화는 네이버와 티스토리로 나뉠 수 있다. 여러 콘텐츠와 수익화 후기를 확인해 본 결과, 두 채널은 성향도 다르고 수익원도 다르다. 네이버의 경우 친숙한 이웃이 정보를 주는 형식으로 글이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맛집, 여행지 정보 등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반면 티스토리의 경우, 다음 혹은 구글을 통해 검색해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티스토리는 생각보다 전문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글이 많다. IT 정보, 투자, 마케팅 등의 정보를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글을 전개하는 방식도 조금은 전문적이고 조금은 분석적인 글이 많다. 또한 이웃 혹은 구독의 개념이 존재하나, 검색을 통한 유입이 대부분이라 큰 의미가 없다.
티스토리 채널을 선택한 것은 내가 글을 펼쳐나가는 방식 혹은 내가 잘 아는 주제가 네이버 블로그와는 맞지 않는 점이 있었다. 또한 수익화 관점에서 구글 애드 센스를 통해 발생시키는 것이 더 유의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 글 구성
티스토리 기본 세팅에 대해서는 이미 여타 글들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에, 내가 운영하며 확인한 유효한 글 구성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 먼저, 글은 봇이 판단했을 때 퀄리티가 높다는 느낌을 주기 위한 방식으로 구성했다. 1,500자 이상으로 구성하고, 스킨에서 제공하는 제목 기능(이미 h1, h2 등의 코드가 적용된)을 이용했으며, 낮은 용량의 소수의 이미지만을 이용했다.
또한 봇에게 활동 블로그라는 인식을 주기 위해 최대한 1일 1 글을 쓰고자 했다. 처음에는 어떤 주제로 쓸지 몰라 고민이 많았는데, 결론적으로는 내가 하루에 하나의 주제로 쓸 수 있는 카테고리를 정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유효하다. 초반 카테고리는 많지 않은 것이 좋으므로, 2-3개 정도의 주제를 정했고 최대한 동일 카테고리 안에서 주제를 찾아 작성했다.
2. 유입 방문자 추이 및 팁
1) 유입 관련 팁
놀라운 사실 몇 가지를 발견했는데, 첫 번째는 글을 수정하는 순간 그 글의 방문자가 바로 줄어드는 것이었다. 처음 블로그를 쓸 때에는 쓴 글을 발행한 후에도 몇 번 더 확인해서, 발견되는 오타 등을 고쳤었다. 초반은 워낙 유입이 적기 때문에 글 수정이 유입에 주는 영향을 알 수 없었다. 하지만 2달째에 접어들면서 유입이 높은 글이 하나씩 생기면서 이와 같은 영향을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두 번째는 글 발행 제목을 숫자에서 문자로 바꾼 후에 유입이 늘었다. (관리 > 블로그 > 주소 설정에서, 포스트 주소를 “문자”로 설정) 내가 발행하는 글의 주소가 문자여야만, 해당 글을 검색하는 검색 봇에게 주제를 노출하기 쉽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유입을 크게 이끄는 것이 한두 가지의 글이라는 점이다. 글을 지속적으로 쌓아나가다 보면, 검색 결과 중 상단에 노출되는 것이 생긴다. 전체적으로 추이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몇 개의 글이 전체 방문자를 크게 끌어올리는 것이었다. 아래 이미지처럼 독전을 검색했을 때, 상단에 내 글이 노출되면서 방문자가 크게 늘었다. 다만, 모든 사람의 검색창에 같은 위치에 글이 노출되지는 않는다. 주변 사람의 검색 결과를 확인해 본 결과 몇몇 사람들에게만 상단에 노출이 되었다.
- 2달 간의 운영 중, 가장 유입(472회)이 높았던 글: 독전 영화 리뷰 - 링크
2) 유입 방문자 추이
운영 1개월 차(2023년 1월부터 시작)에는 주간 방문자 수가 11~65 사이를 오갔는데, 2개월 차에는 주간 방문자 수가 178~573까지로 변경되었다. 다른 여러 티스토리 운영 후기를 봤을 때, 엄청난 성과는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내가 쓸 수 있는 글의 종류를 잡아 나가면서 꾸준하게 높은 퀄리티의 글을 작성해야겠다는 관점에서는 유효한 추이라고 생각한다.
3. 수익화를 위한 준비
만약 티스토리를 통해 블로그 수익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꼭 인지해야 한다. 일반인의 경우, 단기간 수익화는 어려울 수 있으며, 블로그 특성상 중간에 며칠 혹은 몇 주 이상을 쉬게 되면 방문자 추이가 급격하게 떨어지며 수익화도 다시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방문자 추이가 일 수천 명을 넘어야 월 1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나오기 때문에, 생각하는 만큼의 수익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음을 꼭 알아두어야 한다.
'일상 및 경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저근막염 총정리 - 증상, 치료 방법, 기간, 유의점 등 찐 경험담 (0) | 2023.04.05 |
---|---|
월세 방 내놓기 - 리뷰(직방, 다방, 당근마켓 차이) (0) | 2023.03.17 |
부동산 책 추천 - 채상욱 저, 대한민국 부동산 지난 10년, 앞으로 10년 (0) | 2023.03.08 |
주식 책 추천 - 자본의 방식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시각) (0) | 2023.02.28 |
홈트 추천 유튜브 및 팁 (1) | 2023.02.23 |
댓글